반응형

해외 주식에 관심은 있지만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그렇다면 미국 대표기업 위주로 구성된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것은 어떨까요? S&P500은 미국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이뤄진 대표 지수로 꼽힙니다.

이런 S&P500을 추종하는 ETF 가운데 KODEX 미국S&P500TR이 있습니다. 이 상품은 한국 투자자도 미국 우량주에 손쉽게 분산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장기투자에 적합한 ETF를 찾고 계신 분이라면 KODEX 미국S&P500TR을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제부터 KODEX 미국S&P500TR ETF 분석 운용전략 분배금 수수료 시세 전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ODEX 미국S&P500TR 기본소개

항목 내용
상품명 KODEX 미국S&P500TR
유형 해외주식형, 시장대표
시가총액 1조 849억원
상장주식수 66,950,000주
52주 최고/최저 16,225원 / 12,235원
기초지수 S&P 500 Total Return Index
상장일 2021년 04월 09일
펀드보수 연 0.009%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
1개월 수익률 +0.63%
3개월 수익률 +7.16%
6개월 수익률 +24.29%
1년 수익률 +31.01%

KODEX 미국S&P500TR은 미국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에 투자하는 해외주식형 ETF입니다. 현재 순자산총액은 약 1조 849억 원에 달하며, 총 6,695만 주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52주 기준으로 최고가는 16,225원, 최저가는 12,235원을 기록했으며, 2021년 4월 9일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펀드보수는 연 0.009%로 매우 낮은 편이며, 삼성자산운용이 운용사로서 ETF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익률은 1개월 +0.63%, 3개월 +7.16%, 6개월 +24.29%, 1년 +31.01%로 상당히 양호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종목명 비중(%)
MICROSOFT 6.34
SPDR S&P500 ETF 6.33
APPLE Inc 5.52
NVIDIA Corp 4.64
Emini S&P500 FUT(ES) 2024 06 4.01
Amazon.com Inc 3.57
Meta Platforms Inc-CL A 2.16
ALPHABET INC-CL A 2.08
ALPHABET INC-CL C 1.76
BERKSHIRE HATHAWAY CL B ORD. 1.54

마이크로소프트와 SPDR S&P500 ETF가 각각 6% 이상의 비중으로 포트폴리오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애플, 엔비디아, S&P500 선물, 아마존, 메타, 알파벳 등 미국을 대표하는 IT 기업들이 주요 편입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DEX 미국S&P500TR 운용전략

KODEX 미국S&P500TR ETF는 S&P500 TR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됩니다. S&P500 TR 지수란 미국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사의 주가와 배당금을 반영해 산출하는 총수익지수(Total Return Index)를 말합니다.

S&P500 TR 지수는 시가총액, 유동성, 유동비율, 산업대표성 등을 감안해 S&P사가 선정한 500개 우량기업으로 구성되며, 각 종목의 비중은 유동시가총액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지수 구성 시 ADR은 제외됩니다.

이 ETF는 S&P500 TR 지수의 구성종목 및 비중과 최대한 유사하게 포트폴리오를 구축함으로써, 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S&P500 TR 지수의 정기 리밸런싱에 맞춰 매년 3월, 6월, 9월, 12월에 ETF 포트폴리오도 조정하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KODEX 미국S&P500TR ETF는 미국 대형주 시장의 성과를 꾸준히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KODEX 미국S&P500TR 분배금(배당금) 및 배당률 세금

KODEX 미국S&P500TR ETF는 기초지수 구성종목으로부터 얻은 배당금을 별도로 분배하지 않고, 이를 ETF 내에서 주식 매입에 재투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KODEX 미국S&P500TR ETF는 해외주식형 ETF이므로 국내 주식형 ETF와 달리 ETF 매매차익에 대해서도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KODEX 미국S&P500TR 수수료(운용보수)

항목 내용
총보수율 연 0.0099%
총보수비용비율(TER) 연 0.1300%
실부담비용율 연 0.1858%

KODEX 미국S&P500TR ETF의 총보수율은 연 0.0099%에 불과해 국내 주식형 ETF 평균치인 0.3555%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총보수비용비율(TER)은 순자산 대비 총보수와 기타비용을 합산한 값으로, 이 ETF의 경우 연 0.1300%로 나타납니다. 역시 국내 주식형 ETF 평균인 0.4657%보다 상당히 낮은 수치입니다.

여기에 매매 시 발생하는 중개수수료율까지 고려한 실부담비용율은 연 0.1858% 수준으로, 동종 ETF 평균치인 0.5624%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전반적으로 KODEX 미국S&P500TR ETF는 수수료 부담이 매우 적은 편에 속하는데, 이는 장기투자 시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매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KODEX 미국S&P500TR 시세 전망

KODEX 미국S&P500TR ETF는 최근 6개월 간 24.29%, 1년 간 31.01%라는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기초지수인 S&P500의 우호적인 움직임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적호조를 보이는 대형 IT 기업들의 주가 랠리, 경기 정상화에 따른 전통적 경기민감주의 반등, 정부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이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끈 주요 배경으로 꼽힙니다.

물론 이러한 강세장이 지속될 수 있을지는 단언하기 어렵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 통화정책 정상화, 공급망 병목현상 등 잠재적 리스크 요인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봤을 때 미국 우량주에 투자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한 전략으로 판단됩니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막강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들인 만큼 장기 성장 잠재력이 풍부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향후 2~3년 간 KODEX 미국S&P500TR ETF는 연평균 8% 내외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해 봅니다. 다만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고려해 보수적인 기대수익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는 시세차익형 ETF의 성격이 강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배당 메리트까지 누릴 수 있는 복합형 ETF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요약정리

항목 내용
상품명 KODEX 미국S&P500TR
시가총액 1조 849억원
기초지수 S&P 500 Total Return Index
실부담비용율 연 0.1858%
분배율(배당률) -
예상 수익률 연 8% 내외

결론

지금까지 KODEX 미국S&P500TR ETF에 대해 다각도로 점검해 보았습니다. 이 상품은 미국 대표기업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ETF라 할 수 있습니다.

S&P500 지수에 충실하게 연동하면서도 업계 최저 수준의 운용보수를 유지하고 있어 장기투자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직 배당 혜택은 제한적이지만, 향후 분배율 제고 가능성도 열려 있어 보입니다.

다만 환율 변동, 국가별 과세 체계 차이 등 해외투자 특유의 위험요인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을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적절한 분산투자도 요구됩니다.

미국 우량주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KODEX 미국S&P500TR ETF에 주목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 글이 투자자 여러분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